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프로필, 고향, 군 경력 및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논란 정리. 녹취 공개로 드러난 양심선언 요구와 변호사 조력 논란까지 이야기 합니다.
1. 프로필
- 출생: 1968년 (57세)
- 고향: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91년현재)
- 학력: 충남고등학교 졸업, 육군사관학교(47기),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국방정책학 석사)
- 가족: 배우자, 1남 1녀
- 현재 계급: 중장(대한민국 육군)
- 주요 보직: 제51보병사단 167연대장, 제17보병사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합동참모본부 전작권전환추진단장, 육군특수전사령관
2. 고향 및 생애
곽종근 전 사령관은 1968년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태어났다. 1987년 충남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육군사관학교 47기로 입학해 1991년 졸업과 동시에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주로 작전 분야에서 경력을 쌓으며 대한민국 육군에서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그는 한미연합군사령부 지구사 작전처장, 지상작전사령부 작전처장 등 핵심 작전 관련 직책을 맡아왔으며, 이후 제17보병사단장을 역임했다. 또한 합동참모본부에서 작전부장, 작전기획부장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대한민국 국방 전략에 깊이 관여해 왔다.
2023년에는 육군특수전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2024년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과 관련된 논란 속에서 직무정지 후 보직 해임되었다.
3. 논란과 녹취 공개
3.1.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가담 논란
2024년 12월, 윤석열 정부가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곽 전 사령관은 핵심 지휘관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2024년 12월 6일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했다. 이후 그는 군내에서 직무정지되고, 2025년 1월 20일 보직 해임이 결정되었다.
3.2. 녹취 공개와 양심선언 요구
2025년 3월 5일, TV조선은 곽 전 사령관과 그의 지인과의 통화 녹음 내용을 보도했다. 녹취에 따르면, 곽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5일(비상계엄 해제 다음 날) 저녁 7시 30분경 지인에게 전화를 걸어 "누군가가 자신에게 양심선언을 요구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통화에서 "내가 살려면 양심선언을 하라고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하냐"라며 고민을 털어놓았다. 이에 대해 지인이 "군인은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것인데 무슨 양심선언이냐"라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내란죄로 엮겠다고 한다"라고 답했다.
TV조선 보도에 따르면, 곽 전 사령관이 이 전화를 건 것은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이었다. 그는 지인에게 "내가 가진 게 한 개도 없다. 나중에 어려우면 좀 도와달라"고 부탁했고, "아들내미 딸내미 어떻게 먹고 살게 할지 걱정이다"라고 말했다.
3.3. 변호사 조력 논란
녹취 공개 후, 민주당이 곽 전 사령관에게 변호사 조력을 제안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더욱 확산되었다. 곽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10일 국회에 출석한 뒤 민주당 관계자들로부터 변호사 소개를 제안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여당 측에서는 "민주당이 곽 전 사령관을 회유하려 했다"는 주장을 펼쳤고, 민주당은 "새빨간 거짓말"이라며 반박했다.
곽 전 사령관도 "부승찬 의원을 통해 변호인을 소개받았지만, 선임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의 한 동기생은 "곽 전 사령관이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변호사 조력 제안이 그의 입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고 전했다. 현재 곽 전 사령관의 변호는 김현태 707특임단장의 변호인이 맡고 있다.
4. 여파와 향후 전망
곽 전 사령관의 녹취 공개 이후,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은 "누가 곽 전 사령관을 압박했는지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녹취에서 언급된 "내란죄로 엮겠다"는 발언이 논란의 핵심이 되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그가 실제로 외부 압력을 받아 거짓 증언을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김현태 707특임단장은 지난 2월 국회에서 "곽 전 사령관의 초기 자수서에는 ‘국회의원’ ‘본회의장’ ‘끌어내라’는 단어가 없었다"며, 그의 증언이 변형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향후 조사 과정에서 곽 전 사령관의 증언 신빙성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곽 전 사령관은 현재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향후 검찰 조사와 법적 공방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사건이 윤석열 정부 탄핵 정국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그의 녹취 내용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